Skip to main content

일간(일주의 천간)과 십성

사주팔자 중에서 "나"를 뜻하는 일간#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이 태어난 시간이 있기 마련이고 그 시간에 해당하는 사주가 있기 마련입니다. 예를 들어 1991년 양력 10월 14일 오후 2시 30분에 태어난 사람의 사주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주팔자

사주학에서는 사주 팔자 여덟개의 글자 중에서 일주의 천간(일간)을 "나"로 봅니다. 그리고 "나(일간)"를 중심으로 나머지 일곱 글자의 관계를 추리하고 살펴서 명주(사주팔자의 주인)의 운명을 논하는 것이 바로 사주학인 것입니다.

위 예시에서는 "나"를 뜻하는 일간은 丁火(정화)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주의 천간(시간)은 "나(일간)"와 같은 丁火(정화)입니다. 그리고 월주의 천간(월간)은 戊土(무토)인데 일간이 월간을 생해주는 관계에 놓여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화생토). 일간과 월간은 음양이 서로 다릅니다.

또한 연간(연주의 천간)의 신금은 일간이 극하는 오행입니다(화극금). 그리고 일간과는 서로 음양이 같습니다.

십성(十星)#

이처럼 나를 뜻하는 일간과 음양이 같은지 다른지, 오행을 따졌을 때 서로 같은 오행인지, 극하는지, 생하는지를 따져보면 총 10가지 경우가 나오는데 이를 십성이라고 합니다. 이제 십성의 종류를 하나씩 살펴 봅시다.

tip

십성은 다른 말로 십신(十神)이라고도 합니다.

비견 - 일간과 음양과 오행이 모두 같은 글자#

위 예제에서 시간(시주의 천간)은 정화인데 일간과 동일한 글자 입니다. 음양도 서로 같고, 오행도 서로 같습니다. 이런 글자를 비견이라고 합니다.

겁재 - 일간과 오행은 같고 음양은 다른 글자#

사주팔자의 글자 중에서 일간과 음양은 다르고 오행은 같은 경우를 겁재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위 예제에서 일지(일주의 지지) 巳火(사화)는 일간과 음양은 다르고 오행은 같습니다. 즉, 위 예제의 사주팔자에서 일지 巳火(사화)는 겁재입니다.

식신 - 일간이 생하고 음양이 같은 글자#

사주팔자의 글자 중에서 일간이 생하는 관계에 있고 음양이 같은 글자를 식신이라고 말합니다. 위 예제에서 시지(시주의 지지)의 未土(미토)는 일간인 丁火(정화)가 생하는 관계에 있습니다(화생토). 그리고 음양이 같습니다. 따라서 식신입니다.

상관 - 일간이 생하고 음양이 다른 글자#

사주팔자의 글자 중에서 일간이 생하는 관계에 있고 음양이 다른 경우에는 상관이라고 말합니다. 위 예제에서 월간과 월지는 모두 양토인데 일간 丁火(정화)가 생해주는 오행입니다. 그리고 음양은 일간과 다릅니다. 따라서 월간과 월지는 모두 상관에 해당합니다.

정재 - 일간이 극하고 음양이 다른 글자#

사주팔자의 글자 중에서 일간이 극하는 관계에 있고 음양이 다른 경우에는 정재라고 말합니다. 위 예제에서 사용한 사주에는 정재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丁火(정화)에게는 庚金(경금)이 정재에 해당합니다. 화극금하고 庚金(경금)은 양(陽)의 金(금)이라 丁火(정화)와는 서로 음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화극금 정재

지지 중에서는 申金(신금) 또한 丁火(정화)에게 정재에 해당합니다.

편재 - 일간이 극하고 음양이 같은 글자#

사주팔자의 글자 중에서 일간이 극하는 관계에 있고 음양이 같은 경우에는 편재라고 말합니다. 위 예제에서는 연간의 辛金(신금)이 丁火(정화)에게 편재에 해당합니다.

정관 - 일간을 극하고 음양이 다른 글자#

사주팔자의 글자 중에서 일간을 극하면서 음양이 다른 글자를 정관이라고 합니다. 위 예제에서 사용한 사주에는 정관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丁火(정화)에게는 壬水(임수)가 정관에 해당합니다. 수극화하여 丁火(정화)를 극하면서 음양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수극화 정관

지지의 글자 중에서는 亥水(해수)가 丁火(정화)에게 정관에 해당합니다.

편관 - 일간을 극하고 음양이 같은 글자#

사주팔자의 글자 중에서 일간을 극하면서 음양이 같은 글자를 편관이라고 합니다. 위 예제에서 사용한 사주에는 편관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丁火(정화)에게는 癸水(계수)가 편관에 해당합니다. 수극화하여 丁火(정화)를 극하면서 음양이 서로 같기 때문입니다.

수극화 편관

지지의 글자 중에서는 子水(자수)가 丁火(정화)에게 편관에 해당합니다.

정인 - 일간을 생하고 음양이 다른 글자#

사주팔자의 글자 중에서 일간을 생해주면서 음양이 다른 글자를 정인이라고 합니다. 위 예제에는 정인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丁火(정화)에게는 甲木(갑목)이 정인에 해당합니다. 목생화하여 丁火(정화)를 생하면서 음양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목생화 정인

지지의 글자 중에서는 寅木(인목)이 火(정화)에게 정인에 해당합니다.

편인 - 일간을 생하고 음양이 같은 글자#

사주팔자의 글자 중에서 일간을 생해주면서 음양이 같은 글자를 편인이라고 합니다. 위 예제에서는 편인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丁火(정화)에게는 乙木(을목)이 편인에 해당합니다. 목생화하여 丁火(정화)를 생하면서 음양이 서로 같기 때문입니다.

지지의 글자 중에서는 卯木(묘목)이 火(정화)에게 편인에 해당합니다.

십성을 합쳐서 말할 때#

  • 십성 중 일간과 오행이 같은 비견과 겁재를 합쳐서 비겁이라고 말합니다.
  • 십성 중 일간이 생하는 식신과 상관을 합쳐서 식상이라고 말합니다.
  • 십성 중 일간이 극하는 정재와 편재를 합쳐서 재성이라고 말합니다.
  • 십성 중 일간을 극하는 정관과 편재를 합쳐서 관성이라고 말합니다.
  • 십성 중 일간을 생하는 정인과 편인을 합쳐서 인성이라고 말합니다.

십성 표#

일간과의 음양 오행 관계를 비교하여 십성을 표로 정리하여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음양이 같음음양이 다름합쳐서 부를 때
일간과 오행이 같음비견겁재비겁
일간이 생해줌식신상관식상
일간이 극함편재정재재성
일간을 극함편관정관관성
일간을 생해줌편인정인인성

위의 십성 표는 매우 중요한 표이므로 반드시 암기 하셔야 합니다.

tip

십성은 위의 표에서 보듯이 크게 비겁/식상/재성/관성/인성 다섯가지로 나뉩니다. 여기에 나(일간)을 포함하여 육신(六神), 혹은 육친(六親)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십성/십신/육신/육친 모두 같은 뜻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정해 만세력에서의 십성 표시#

정해 만세력 사주 분석을 하시면 사주팔자 각 글자 옆의 세 단어 중 첫째 줄의 단어가 십성을 뜻합니다.

사주팔자의 십성

위 사주팔자를 보시면서 앞서 공부한 내용대로 십성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요약#

  • 사주팔자에서는 일주의 천간(일간)이 나를 뜻한다.
  • 일간과 나머지 여덟글자의 음양 오행의 관계에 따라 십성이 정해진다.
  • 십성에는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의 10가지가 있다. 그래서 십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