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선택
한자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성명 입력에서 입력한 한글 이름에 맞는 한자들이 표시됩니다. 각각의 한자 밑에는 그 한자의 훈음, 획수, 획수 오행, 획수 음양, 자원 오행이 표시됩니다.
#
원형이정원형이정은 각각 초년(1세-20세), 청년(21세-40세), 중년(41세-60세), 노년(61세-80세)의 시기를 나타냅니다. 한자의 밑에 표시되는 원형이정은 만일 그 한자를 선택한 경우에 각 원형이정의 시기가 좋을지 나쁠지를 나타냅니다. 그 한자를 선택했을 때, 그 시기가 좋다면 초록색 동그라미로 표시되고 좋지 않다면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시됩니다.
아직 선택하지 않은 글자가 남아 있어서 길흉을 판단할 수 있는 경우에는 물음표(?)로 표시됩니다.
원형이정, 네 시기 모두 초록색 동그라미가 되도록 한자를 조합하시면 됩니다.
#
불용 한자한자 중에는 우측 상단에 불용이라고 표시된 글자가 있습니다. 이는 그 글자가 불용 한자임을 나타냅니다. 작명을 할 때는 여러가지 이유로 특정 한자들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한자가 가진 뜻 자체가 좋지 않은 경우도 있고, 뜻 자체는 좋으나 그 글자를 쓴 경우에 좋지 못한 인생을 살 확률이 높아서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자가 가진 뜻이 좋은 경우에는 불용 한자라고 하더라도 쓸 수도 있습니다. 즉, 불용 한자라고 해서 반드시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원형이정의 수리가 좋고 사주 원국의 부족한 오행을 보충해 줄 수 있다면 꼭 필요한 경우에는 써도 무방하겠습니다. 물론 판단은 명리학자 각자의 몫이겠지요?
#
원획법과 필획법작명을 할 때 사용하는 수리에서는 필획법을 쓰지 않고 원획법을 씁니다. 필획법은 옥편에 나와 있는 획수이고 실제로 한자를 쓸 때 몇 획에 쓰여지는 지를 나타냅니다. 반면 원획법은 한자의 부수가 가진 획수를 그대로 가지고 와서 쓰는 방법입니다. 한자 자체가 가진 의미에는 원획법이 더 가까운 것으로 보고 작명시에는 보통 원획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해 만세력에 나와있는 획수가 옥편과 다르다고 하여 잘못 된 것이 아니 오니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